갈변반응, 커피 아로마키트 둘러보기2

업데이트 날짜 : 2024-05-26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르네뒤뱅 커피 아로마키트 둘러보기 두번째 시간입니다. 갈변반응 슈가 브라우닝(SUGAR BROWNING)으로 생성되는 아로마 향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커피 생두가 로스팅되는 과정에서 당 성분이 갈변되면서 생성되는 향미로써, 캐러멜향(CARAMELLY), 견과류향(NUTTY), 초콜릿향(CHOCOLATY)이 나타납니다. 이 향들을 특징을 가이드북의 설명을 토대로 읽고, 요약해 보겠습니다.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9종 예시

1.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캐러멜류(CARAMELLY)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캐러멜류 3종 예시

  • CARAMELLY 캐러멜류
    • #25_Caramel(캐러멜향)
      • 캐러멜, 구운 파인애플, 딸기에서 느껴지는 향
      •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향
      • 아라비카 커피를 추출할 때 뚜렷하게 발현되는 향
      • 안티구아 엑셀소, 콜롬비아 후일라 샌어거스틴, 짐바브웨 커피에서 감지됨
    • #18_Fresh Butter(신선한 버터향)
      • 신선한 버터를 녹일 때 나오는 향
      • 크리미한(creamy) 느낌
      • 고품질 아라비카 커피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관능미와 부드러움을 더해줌
      • 분쇄향보다 추출향에서 잘 감지됨
      • 로부스타 보다 아라비카에서 강하게 감지됨
      • 케냐 커피에서 가장 명확하며,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수프리모, 브라질, 아프리카 커피에서 감지됨
    • #28_Roasted Peanuts(볶은 땅콩향)
      • 살짝 볶음 땅콩, 땅콩 기름에서 느껴지는 향
      • 그리스의 맛으로 불리는 이 향은 섬세함과 우아함의 상징적인 향
      • 그리스에서는 인위적으로 생 땅콩을 첨가하기도 함.
      • 케냐 키탈레, 짐바브웨, 자이르 커피에서 감지됨

2.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견과류(NUTTY)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견과류 3종 예시

  • NUTTY 견과류
    • #29_Roasted Hazelnuts(볶은 헤이즐넛향)
      • 그윽하고 버터리하게 복잡미묘한 향
      • 라이트 로스팅의 특징이며 커피향기에 달콤함을 더해줌
      • 추출향보다 분쇄향에서 잘 감지됨
      •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에서 공통적으로 감지되는 향이지만 로부스타에서 더 강하게 발현됨
      • 드물게 감지되는 향으로써 가치가 높음
      • 콜롬비아 시에라 드 산타마리타, 베네수엘라 타치라 커피에서 감지됨
    • #27 _Roasted Almonds(볶은 아몬드향)
      • 아몬드에 설탕이나 초콜릿을 코팅한 프랄린이 연상되는 향
      • 초콜릿 향과 짝을 이루는 가장 매력적인 향
      • 브라질 쉴드미나, 콜롬비아 엑셀소 발레두파, 에티오피아 리무,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우간다 커피에서 감지
    • #30_Walnuts(호두향)
      • 소고기 유리나 가금류 구이에서 나오는 전형적으로 구미를 돋우는 향
      • 아라비카 커피의 중요 향으로 코코아 향과 잘 어울림
      • 고품질 커피에서 감지되는 수준 높은 향
      • 추출향보다 분쇄향에서 잘 감지됨
      •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빅토리, 콜롬비아 엑셀소, 브라질 및 아프리카 커피에서 감지됨
      • 특히 케냐의 높은 등급 커피에서 풍부함.

3.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초콜릿류(CHOCOLATY)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초콜릿류 3종 예시

  • CHOCOLATY 초콜릿류
    • #26 Dark Chocolate(다크초콜릿향)
      • 숙성되거나 로스팅될 때, 분쇄 콩과 설탕이 섞일 때 나오는 향
      • 커피와 코코아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향
      • 커피의 주된 특징을 대변하는 향으로 추출향보다 분쇄향에서 잘 감지됨
      • 하와이안 코나에서 명확하고, 자이르, 우간다, 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커피에서도 감지됨
      • 중남미 커피에서 일반적으로 감지되나 콜롬비아 커피에서는 드문 향
    • #10 Vanilla(바닐라향)
      • 따뜻하고, 관능적이며, 약간 버터리한 강렬함을 가진 향
      • 지속성이 있으며 커피향의 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바디를 더해주고, 다른 향들을 강화시켜 줌
      • 최상급 브라질 커피와 케냐 로부스타에 우아함과 부드러움을 부여
      • 엘살바도르 마라고지페, 파푸아뉴기니 시그리에서 감지됨
    • #22 Toast(구운 빵향)
      • 커피 향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향으로써 숙련된 로스터들이 중시하는 향
      • 온화한 향내는 수준 높은 커피를 상징
      • 에티오피아, 우간다 드루가 로부스타, 브라질 커피에서 감지됨

3. 숙련된 로스터가 주목하는 갈변반응

슈가브라우닝 갈변반응에서 발현되는 것들은 숙련된 로스터가 주목하는 핵심적인 향입니다. 그 이유는 로스팅을 통하여 생두의 잠재력을 폭발시키는 향이며, 전적으로 로스터의 역량에 따라 좌우되어 재탄생하는 향이기 때문입니다. 9가지 향 하나하나가, 따로 또 같이, 커피의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경험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커피인들이 찾는 커피의 가장 좋아하는 뉘앙스라고 생각됩니다.

다음 포스티에서는 건열반응 드라이 디스틸레이션에 포함된 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