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 날짜 : 2024-05-22
르네뒤뱅 커피 아로마키트 36종은 커피인들의 후각을 훈련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입니다. 커피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대표적인 향기 물질만을 선별하여 담았습니다. 이 아로마키트를 활용하여 반복적으로 훈련하면, 미묘한 커피의 향미를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판매자가 말하는 키트 사용법입니다. 참고로, 르네뒤뱅 아로마키트가 말하는 향과 우리가 접해왔던 향과는 뉘앙스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1. 르네뒤뱅 커피 아로마키트 36, 향분류

- 유기반응 엔자이매틱(ENZYMATIC)
- FLOWERLY 꽃류
- #12_Coffee Blossom(커피 꽃), #11_Tea-Rose(장미), #19_Honeyed(꿀)
- FRUITY 과일류
- #15_Lemon(레몬), #17_Apple(사과), #16_Apricot(살구)
- HERBAL 허브류
- #03_Garden Peas(완두콩), #02_Potato(감자), #04_Cucumber(오이)
- FLOWERLY 꽃류
- 갈변반응 슈가 브라우닝(SUGAR BROWNING)
- CARAMELY 캐러멜류
- #25_Caramel(캐러멜), #18_Fresh Butter(신선한 버터), #28_Roasted Peanuts(볶은 땅콩)
- NUTTY 견과류
- #29_Roasted Hazelnuts(볶은 헤이즐넛), #27_Roasted Almonds(볶은 아몬드), #30_Walnuts(호두)
- CHOCOLATY 초코렛류
- #26 Dark Chocolate(다크 초콜렛), #10 Vanilla(바닐라), #22 Toast(구운 빵)
- CARAMELY 캐러멜류
- 부정적인 향기 아로마 테인츠(AROMATIC TAINTS)
- EARTHY 토양류
- #01_Eatrh(흙), #20_Leather(가죽), #05_Straw(짚)
- FERMENTED 발효류
- #13_Coffee Pulp(커피 과육), #21_Basmati Rice(바스마티 쌀,) #35_Medicinal(약품)
- PHENOLIC 페놀류
- #36_Rubber(고무), #31_Cooked Beef(구운 고기), #32_Smoke(연기)
- EARTHY 토양류
- 건열반응 드라이 디스틸레이션(DRY DISTILLATION)
- SPICY 향신료류
- #08_Pepper(후추), #07_Clove-like(정향), #09_Coriander Seed(고수씨)
- RESINOUS 수지류
- #24_Maple Syrup(메이플 시럽), #14_Blackcurrent-like(블랙커런트), #06_Cedar(삼나무)
- PYROLYTIC 열분해류
- #23_Malt(맥아), #34_Roasted Coffee(볶은 커피), #33_Pipe Tobacco(담배)
- SPICY 향신료류
2. 유기반응 엔자이매틱(ENZYMATIC) 3 분류

엔자이매틱 유기반응 향은 자연에 의해 갖게 되는 향미에 속하며, 다시 꽃향(Flowery), 과일향(Fruity), 허브향(Herbal)으로 구분됩니다. 이 향들을 특징을 가이드북의 설명을 토대로 읽어보고, 의역하여 요약해 보겠습니다.

- FLOWERLY 꽃향
- #12_Coffee Blossom 커피
- 전문가도 감지하기 쉽지 않은 커피의 상징적으로 우아한 향
- 커피꽃은 아라비안 재스민이라고도 했고, 몇몇 사람들은 오렌지 꽃에 비함
- 커피에 활력을 불어넣는 이 향은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 커피에서 찾을 수 있음
- 대표적으로는 과테말라의 커피꽃 향기로 알려져 있음
- 에티오피아 하라, 파푸아뉴기니 시그리, 인도네시아 자바 커피에서 느껴짐.
- #11_Tea-Rose 장미
- 터키와 불가리아에서 자생하는 다마스커스 장미의 향
- 레드커런트 젤리가 연상되며, 신선한 커피의 지배적인 향
- 로부스타보다는 아라비카에서 강하게 나타남
- 커피를 분쇄할 때보다는 추출할 때 더 강하게 느껴짐
- 엘살바도르 파카마라, 마라고지페에서 감지됨
- 과테말라 최고급 커피의 재스민 향과 잘 조화됨
- #19_Honeyed 꿀
- 꽃에서 맡을 수 있는 꿀 냄새
- 밀랍, 진저브레드, 누가 및 일부 담배에서도 연상됨
- 삼나무, 살구, 버터 만큼은 아니지만 좋은 커피에서 나오는 고급스러운 향
- 추출보다는 분쇄할 때 진하게 올라옴
- 멕시코 리퀴담바, 파푸아뉴기니 시그리 커피에서 감지됨
- #12_Coffee Blossom 커피

- FRUITY 과일향
- #15_Lemon 레몬
- 레몬 껍질에서 나오는 신선하고 생기있는 향
- 후각보다는 미각에서 잘 감지되며 밸런스 있는 커피에서 중요한 향
- 케냐AA, 몇몇 과테말라 커피에서 발견되며 파푸아뉴기니 시그리 커피에도 존재
- #17_Apple 사과
- 커피에 달콤함과 신선함을 주는 향
- 사과와 커피는 동일한 향기 물질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음
- 상큼한 과일향의 뉘앙스이며 중미와 콜롬비아 커피들의 베이스가 되는 향
- 아이티 커피에서도 감지됨.
- #16_Apricot 살구
- 신선한 살구와 살구 잼에서 나오는 우아한 향
- 원기를 돋우며 감지가 선명한 향
- 에티오피아 시다모 커피의 전형적인 향
- #15_Lemon 레몬

- HERBAL 허브향
- #03_Garden Peas 완두콩
- 어린 완두콩과 갓 수확한 꼬투리에서 나는 냄새
- 커피 생두와 약볶음 원두 커피에서 항상 맡을 수 있음
- 추출보다는 분쇄 향에서 강하게 올라옴
- 커피의 다른 향들과 조화를 이루는 데 필수적인 향
- 브라질 우간다의 로부스타와 과테말라 아라비카에서 쉽게 감지됨.
- #02_Potato 감자
- 삶은 감자 냄새
- 로스팅에서 생성되는 메티오날(methional) 성분에서 기인
- 커피에서 흔히 발견되는 향이지만 지배적인 향은 아님
- 강한 감자향은 커피의 평가 등급을 낮춤
-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톨리마, 온두라스, 짐바브웨 및 중미 커피에서 발견되는 향.
- #04_Cucumber 오이
- 신선한 오이 냄새
- 멜론, 수박, 굴이 연상되는 향
- 지배적인 향은 아니지만 개성있고 흥미로운 향
- 베네수엘라의 타치라 커피에서 명확하게 발견됨
- 다양한 커피와 다양한 단계에서 느껴짐
- #03_Garden Peas 완두콩
3. 아로마키트 향기를 대하는 자세
이상으로 엔자이매틱 유기반응 향 9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이 향들은 공통적으로 고급스러운 커피에서 감지되는 우아한 향이며, 스페셜티 커피의 개성을 표현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갖고 있는 역치의 차이에 따라 향의 호불호와 받아들여지는 뉘앙스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선호하는 향도 너무 강하면 역하게 느껴지고, 선호하지 않는 향도 다른 향들과 조화를 이루면 좋게 받아들여지게 됩습니다. 그러므로 각각의 향들을 맡아보고, 호불호를 고정해두지 말고, 객관적으로 수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아로마키트 활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갈변반응에서 생성되는 슈가 브라우닝, 부정적인 향기성분인 아로마 테인츠, 건열반응에서 생성되는 드라이 디스틸레이션에 대해서 차례로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갈변반응 슈가 브라우닝(Sugar Browning)
- 건열반응 드라이 디스틸레이션(Dry Distillation)
- 부정적인 향기 아로마 테인츠(Aromtic Taints)
- 커피향미를 쉽게 표현하자, 플레이버휠 2종
- 커피아로마키트연습장.pdf